메리 크리스마스 탈도 많던 코로나 세번째해 2022 도 저물어간다. 3은 어디서나 좋은 숫자, 이렇게 마무리가 되면 좋겠지 싶은 마음이다. 2020,2021년에 학교에 입학한 아이들은 학교도 줌도 선생님도 급식도 태권도학원도 모두 뒤죽박죽 제대로 된것 하나없이 마스크 쓴 자기얼굴만 어색하게 익히며 시간이 갔다. 다행히 올해 2022는 마스크를 쓴채이지만 대면수업을 했기에 학교라는 시스템을 체득했으니 다행이다. 올해 3월 초등학교입학후 몇주후, 늘 그렇듯 아침마다 배아픈 아기들이 병원출입이 는다. 코로나 시대를 산다, 마슈끄 아이들과. “마슈끄. 엄마, 마슈끄…” 코로나 시대의 진료실 진풍경이다. 구강 진찰하느라 잠시 내린 마스크를 다시 해달라는 아기들. “엄마, 마슈끄 해도!!!!” 고사리손으로 내려진 마스크를 잡아 올리느라 애를 쓴다. 아기 상어 가족이 코 범벅이 된 마슈끄, 엘사 공주가 상큼 웃는 마슈끄, 핑키, 해바라기, 배트맨 마슈끄. 안 하겠다고 고집 피우는 어린 아기들도 물론 간혹 있다. 그러나 대체로는 ‘감동스럽게’ 잘 쓰고 다닌다. 참 놀라운 아이들이다. 벌써 코로나 시대를 산다… 달팽이를 키우며 산다…. 역병의 시대를 산다. 혼란의 시대를 산다. 처음도 아니요, 마지막도 아닐 것이다. 불안함이 팽배하고, 옳고 틀린 정보에 밀려가며 산다. “선생님,저 달팽이 키워요” 어느 지루한 코로나 시대의 138일째, 혹 213일째, 유치원 못 가고 동생 접종하는데 따라온 채은 (5.4세)이 하는 말을 듣는 순간. “양 한마리 그려줘!” 어느 캄캄한 밤 아프리카의 사막에서 추락한 조종사가 떠오르는 순간이었다.(‘어린 왕자’. 쌩 떽쥐베리) “저 달팽이 네마리 키워요.” 안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