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어울려,돌보며,살피며 살다보면 가슴에 진하게, 쉽게 말하면 ‘짠하게’ 와 닿는 순간들이 있다. 그런 순간들을 기억하고 싶어서 사진을 찍어둔다. 인터넷세상이 좋은 점은 이런 것이다. 사진을 찍어두고 가끔 보면서 각성하고 자성하는 계기로 삼는 것이다. 1. 두고 간 아기신발 한짝 마우스만한 신발.많이 걸어서 때가 묻은 아기 첫신발. 어찌나 맘을 움직이던지… 헤밍웨이의 문구가 떠올랐다.(가장 짧은 ‘소설’이라는 과대포장에 시달리는 하이쿠적인 문구라는게 약간 불경스러운 내생각,ㅎㅎ) For

예성이와 크리스마스 트리

탈도 많던 코로나 세번째해 2022 도 저물어간다. 3은 어디서나 좋은 숫자, 이렇게 마무리가 되면 좋겠지 싶은 마음이다. 2020,2021년에 학교에 입학한 아이들은 학교도 줌도 선생님도 급식도 태권도학원도 모두 뒤죽박죽 제대로 된것 하나없이 마스크 쓴 자기얼굴만 어색하게 익히며 시간이 갔다. 다행히 올해 2022는 마스크를 쓴채이지만 대면수업을 했기에 학교라는 시스템을 체득했으니 다행이다. 올해 3월 초등학교입학후 몇주후, 늘 그렇듯 아침마다 배아픈 아기들이 병원출입이 는다.

모유 수유가 좀 특별한 사건이 되어가는 세상이다. 어찌 변하는 게 이뿐이랴만, 변화가 모여 진화가 되기도 하니 섣부른 감정적 판단은 배제할 일이다. 다만, 분유를 선호하면서도 초유 밀, 초유 첨가 분유, 초유 사탕, 초유 첨가 우유, 심지어는 초유 첨가 음료수도 나온 걸 보면 초유라는 개념이 거의 맹신의 대상이 아닌가 의구심이 든다. 그럴만한 가치가 있을까? 과연 이것도 얄팍한 상술일까? 하나나 혹은 간신히 둘,

아기가 이 세상에 나온 그 순간부터 엄마의 걱정은 시작된다. 우리 아기에게 얼마나 자주, 얼마만큼 주어야 좋을까? 요즘은 분유가 대세이니 간편하게 대략을 잡아본다. 평균 체중(3~3.5kg)으로 태어난 아기는 생후 1달간 하루에 400~700 그램을 먹는다. 수유 시간은 간격은 대략 2~3시간이다. 생후 첫주는 300그램 정도를 나누어 적은 양으로 자주 먹이기도 한다. 백일정도 되면 아기마다 수유량의 차이가 많이 나서 600그램을 간신히 먹는 아기도 있지만, 1000그램을

유은, 유하 쌍동이 남매가 어린이집 설날잔치를 맞아 화사하게 꾸민 모습

“마슈끄. 엄마, 마슈끄…” 코로나 시대의 진료실 진풍경이다. 구강 진찰하느라 잠시 내린 마스크를 다시 해달라는 아기들. “엄마, 마슈끄 해도!!!!” 고사리손으로 내려진 마스크를 잡아 올리느라 애를 쓴다. 아기 상어 가족이 코 범벅이 된 마슈끄, 엘사 공주가 상큼 웃는 마슈끄, 핑키, 해바라기, 배트맨 마슈끄. 안 하겠다고 고집 피우는 어린 아기들도 물론 간혹 있다. 그러나 대체로는 ‘감동스럽게’ 잘 쓰고 다닌다. 참 놀라운 아이들이다. 벌써

역병의 시대를 산다. 혼란의 시대를 산다. 처음도 아니요, 마지막도 아닐 것이다. 불안함이 팽배하고, 옳고 틀린 정보에 밀려가며 산다. “선생님,저 달팽이 키워요” 어느 지루한 코로나 시대의 138일째, 혹 213일째, 유치원 못 가고 동생 접종하는데 따라온 채은 (5.4세)이 하는 말을 듣는 순간. “양 한마리 그려줘!” 어느 캄캄한 밤 아프리카의 사막에서 추락한 조종사가 떠오르는 순간이었다.(‘어린 왕자’. 쌩 떽쥐베리) “저 달팽이 네마리 키워요.” 안도하는

(SS는 즉흥으로 떠오른 거다. Sport Scala. 체육 지수) 막 걸음마 시작한 아기가 뒤뚱뒤뚱 걷는 모습을 보면 저절로 웃음이 지어진다. 놀이터라도 지날라치면 아이들의 뛰노는 모습에 밝음이 솟아나는 걸 느낀다. 삼삼오오 책가방 메고 지나가는 청소년들을 보면 그냥 대견하다는 생각이 든다. 자전거에 세 놈이 매달려 타고 달리는 걸 보면, 얘들아, 어, 위험해! 하면서도 저런 때가 좋은 때다라는 생각이 스친다. 젊음. 힘. 균형. (매일

디지털 세상,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잡, 디지털 정의. 코로나라는 본래 약성이던 바이러스의 변종출현으로 21세기의 지구가 흔들리고 있다. 더불어 파생된 문제 중 하나는 사회적 거리 두기, 본질적 예방책의 하나로써 온 지구인이 싫든 좋든 지키는 사회적 약속, 그중의 하나가 놀이방, 어린이집, 학교의 휴업. 해결책으로 온라인 수업이 진행 중. 많은 준비와 시행착오를 거쳐 무대에 올려지기는 한 모양이다. 마치 카타스트로프, SF영화에서 나오듯 학교가는 대신

영유아 검진 때 부모님과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주제는 단연 ‘말’이다. 아기가 말을 못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가 ‘밥’, 즉 아기가 밥을 안 먹는다는 것이고, 세번째는 ‘잠’, 아기가 잠을 안 잔다는 것이다. 통잠을 안자고, 늦게 자고, 낮잠을 시도 때도 없이 자는것이다. 그다음은 키가 안 큰다는 것이다. 말> 밥> 잠> 키 한국어의 묘미가 느껴진다. 전부 한 단어짜리 명사. 말. 몇 살에 몇